보유기술

저희 처리시설과 공법 및 시스템을 알려드립니다.

    사업장별 최적폐수처리시설 설계

  • 폐수발생 사업장별 발생폐수의 핵심특성을 찾아
    최적 처리공법을 조합한 특화폐수처리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시설 운전관리에 대한 용이성과 안정성은 물론 운전관리비용의 경제성까지 향상시킴
  • ㅇ  물리적 처리, 화학적 처리, 생물학적 처리 기술을 적절하게 조합한 최적 시스템
  • ㅇ  운영관리비 경제적시스템
  • ㅇ  방류 ㆍ 배출 최소화시스템

    MBR (Membrane Bio Reactor) 시스템

  • 생물학적 공정(Biological Reaction)과 막분리 공정(Membrane Separation)의 장점을 결합하여 기존 생물학적 공정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유ㆍ무기 오염물질 및 미생물 등 처리대상물질을 완벽하게 분리, 제거할 수 있는 고도의 처리공법
  • ㅇ  축산분뇨 등 처리 어려운 폐수처리
  • ㅇ  제한적 부지, 처리수 재이용 적용
  • ㅇ  운영관리 용이한 자동화 시스템 적용

    혐기성 소화시설

  • 유기성 오염물질이 함유된 폐수나 찌꺼기를 산생성균 및 메탄생성균 등의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소화 처리함으로써 열에너지원으로 매우 유익한 메탄(CH₄)이 함유된 biogas를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 폐수처리시설의 규모는 물론 운전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
  • ㅇ  유기성 폐수 및 폐기물 biogas 생산
  • ㅇ  폐수 특성에 적합한 혐기성소화기술 적용 (재래식 소화조, UASB, EGSB소화조)
  • ㅇ  Biogas 효율적 이용기술 적용 (전력생산, 건조기 열원, 냉난방열원)
혐기성소화시설
폐수무방류⋅중수도시설


호기성/혐기성 처리 비교

호기성 처리(Aerobic process) 혐기성 처리(Anaerobic process)
처리방법 산소를 좋아하는 미생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 용존산소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정화
대표적 방법 활성슬러지법, T-N처리 질산화 혐기성소화법
부산물
에너지 소모
(상대비교값)
0.7~1 kWh/㎏ CODcr
(100)
0.07~0.1 kWh/㎏ CODcr
(5~10)
에너지 생산 0 2,867,000 ㎉/t CODcr
영양염 소요
(㎏/t CODcr)
50 NH₄-N : 15 PO₄-P 15 NH₄-N : 3 PO₄-P
필요 부지
(㎡/t CODcr)
300 30
COD제거효율(%) 90~98 70~85

    Biomass Mass Flow

경제성 비교

※ 적용폐수 예 : 650 ㎥/d, CODcr 7,000 mg/L, BOD 4,000mg/L

Item 활성슬러지 단독 공법 혐기성소화 &
활성슬러지 연계 공법
비 고
Process 집수조 → ASP 집수조 → 소화조 → ASP
포기송풍전력비용 78,800,000 원/년 11,900,000 원/년 360d/y, 100원/kWh
슬러지 처리비용 148,500,000원/년 23,000,000원/년 110,000원/톤
소요 부지 (㎡) 포기조,침전조 1,000 소화조재래식,포기침전조 550
소화조EGSB,포기침전조 350
집수조, 농축조, 탈수실, 운전실 등 제외
Bio Energy 생산 0 399,923,000원/년 2,000N㎥/d Biogas 1,000원/B-C oil
연간 592,323,000원 이익!!(부지 경제성 제외)

◆ 전기요금, 슬러지처리비, 연료비 갈수록 상승!  혐기성처리로 폐수처리전력비용, 슬러지처리비용 절감!

※『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』 2023.12.31 시행

    유효자원 회수시설

  • ㅇ  유기성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가의 물질을 분리, 건조, 농축, 혐기성소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회수하여 원재료로 재사용하거나 부산물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기업 경쟁력 향상
  • ㅇ  고농도 유기성폐수를 혐기성소화시켜 발생되는 Biogas로 전력을 생산하여 계내 전력으로 사용하거나 난방, 건조 등의 열에너지로 활용

    폐수무방류ㆍ중수도시설

  • ㅇ  오수나 폐수를 적정한 수준으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흘러 보내지 않고 공정용수, 청소수, 정원수, 화장실용수 등으로 다시 이용함으로써 수자원의 효용성을 높게 함은 물론 폐수중에 함유되는 미지의 오염물질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
혐기성소화시설
폐수무방류⋅중수도시설

본 사이트는 저작권을 확보한 이미지 및 폰트를
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[상세정보]